月544만원

月544만원 벌수있나? 딱 평균 보통사람들 이렇게 산다

月544만원 벌수있나? 딱 평균 보통사람들 이렇게 산다

전기차 접고 AI서 사과나무 심는 애플

대한민국 보통사람들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544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대비 4.4% 증가한 것이지만

월평균 소비가 5.7% 늘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신한은행이 전국 만20∼64세 경제활동자(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으나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소비 50.7%(276만원) 부채상환 9.9%(54만원) 저축·투자 19.3%(105만원)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000명에게 따로 지난해 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더구나 이들 가운데 96.1%는 이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보통사람들의 평균 자산은 6억294만원이었다. 2022년보다 4.8%(2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699만원으로 1년 사이 4564만원 늘었으나 같은 기간 1구간

(하위 20%·1억6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 1291만원, 1582만원에 그쳤다.

가구 자산 가운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이 79.7%로 가장 크고, 금융자산과 기타 자산은 각각 13.6%, 6.7%를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80.2→79.7%)은 소폭 줄어든 대신 금융자산(13.5→13.6%)이 늘었다.

부동산만 따로 들여다보면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평균 4억8035만원으로 전년보다 4.2%(1926만원) 불었다.

‘향후 1년(2024년)의 가계생활 형편 전망’에 대해서는 47.2%는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30.2%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22.6%에 그쳤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소비 50.7%(276만원) 부채상환 9.9%(54만원) 저축·투자 19.3%(105만원)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000명에게 따로 지난해 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더구나 이들 가운데 96.1%는 이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보통사람들의 평균 자산은 6억294만원이었다. 2022년보다 4.8%(2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699만원으로 1년 사이 4564만원 늘었으나 같은 기간 1구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