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ELS 수조원

홍콩ELS 수조원 손실에도 특이사항 없다

홍콩ELS 수조원 손실에도 특이사항 없다

정년제도 아예 없애자 연금 수급연령도 올리자

올해 들어 은행·증권 등이 판매한 홍콩 H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에서 ‘조 단위’ 손실이 발생하고 있지만 정작 금융지주 이사회에서 이같은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있어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이 11일에 홍콩 H지수 기초 ELS 관련 분쟁조정기준안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ELS 판매 관련 내부통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10일 국내 5대 금융지주가 공시한 ‘2023년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KB·신한·우리금융지주는 9차례

하나금융지주는 8차례, NH농협금융지주는 11차례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열었다.

금융지주 리스크관리위원회는 3~4명의 금융지주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고, 금융그룹 전반의 각종 거래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인식·측정·감시·통제하는 기능을 맡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권의 가장 큰 잠재 위험요소로 등장한 홍콩 H지수 ELS와 관련된 언급이 있던 곳은 신한금융 단 한 곳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지난해 11월 이용국 리스크관리위원장이 3분기 평가 보고 사항과 관련해 홍콩 H지수 기초 ELS 상품 현황을 물은 수준이다.

이외의 모든 ‘보고 안건’별 활동 내역란에는 ‘특이사항 없음’ 또는 ‘특이의견 없음’만 적혀 있었다.

사외이사들은 리스크관리위원회의 결의 안건에 이의 없이 100% 찬성했다.

리스크관리위원회 등에 참석하는 5대 금융지주 사외이사의 지난해 평균보수는 7531만원이다.

이 중 홍콩 ELS 손실규모가 가장 큰 KB금융지주의 경우 사외이사 7명 중 3명의 보수가 1억원이 넘었다.

금감원은 11일 홍콩 H지수 검사결과와 분쟁조정 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다.

발표될 배상안을 바탕으로 금융권은 이에 대한 수용 여부를 결정해 자율배상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금융감독원이 11일에 홍콩 H지수 기초 ELS 관련 분쟁조정기준안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ELS 판매 관련 내부통제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10일 국내 5대 금융지주가 공시한 ‘2023년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KB·신한·우리금융지주는 9차례

하나금융지주는 8차례, NH농협금융지주는 11차례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열었다.

금융지주 리스크관리위원회는 3~4명의 금융지주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고, 금융그룹 전반의 각종 거래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인식·측정·감시·통제하는 기능을 맡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권의 가장 큰 잠재 위험요소로 등장한 홍콩 H지수 ELS와 관련된 언급이 있던 곳은 신한금융 단 한 곳에 불과했다.

자율배상이 이뤄지지 않은 건에 대해서는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절차를 밟아야 한다.

투자 피해 사례별로 0~100%까지 차등배상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올들어 지난 7일까지 5대 은행이 판매한 H지수 기초 ELS상품의 손실액은 1조 2079억원으로 집계됐다.

월별 H지수 ELS 만기 상환 금액은 1월 9172억원에서 2월 1조6586억원에 이어 3월 1조8170억원, 4월 2조5553억원으로 점차 늘어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