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처럼 대세될

인터넷뱅킹처럼 대세될 줄 알았더니 모두 적자

인터넷뱅킹처럼 대세될 줄 알았더니 모두 적자

12억 집 살면서 통장에 월340만원 꽂힌다 17억 주택도 대상

금융당국의 보험 분야 규제 개선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보험회사의 성장세가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는 보험설계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오프라인 경험에 익숙한 보험 소비자들의 인식 전환에 애를 먹고 있는 모양새다.

보험업계에서는 내년 초 시행될 ‘보험상품 비교 추천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보험 상품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지만 되레 온라인 경쟁이 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2일 매일경제가 디지털 보험회사 5개사의 올해 상반기 경영공시를 종합한 결과 모든 회사가 당기순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상반기 기준 181억원의 손실을 냈고, 하나손해보험(180억원), 캐롯손해보험(165억원)도 적자를 냈다.

교보라이프플래닛(91억원)과 신한EZ손해보험(13억원)도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

이 중 하나손해보험과 교보라이프, 카카오손해보험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은 보험산업의 디지털화를 목표로 대대적인 규제 개선에 나선바 있다.

당시 금융당국은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경쟁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1사 1라이선스

(동일 보험그룹 내 생명보험, 손해보험 각 1개사만 진입)’ 허가 정책 유연화, 디지털, 비대면을 통한 보험 모집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대대적인 규제 개선에 나선지 1년이 지났지만 디지털보험사들의 실적은 되레 역주행한 것이다.

보험업계에서는 디지털보험사들이 플랫폼 사업의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에 단기에 실적을 내기 어려운 구조라고 평가한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 관계자는 “사용자들이 많이 모이지 않으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외부에서 보는 실적지표로는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우선 단기 실적보다는

플랫폼 이용자들이 얼마나 늘고 있는지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 소비자들이 보험사들의 대면 영업 구조에 익숙하다는 점도 넘어야할 과제다.

실제 보험연구원이 한국은행과 한국거래소(KRX), 금융감독원의 자료를 취합해 파악한 금융상품간

가입경로 차이를 보면 은행(74.7%)과 금융투자(83.6%) 상품은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이 주를 이루는 반면,

생명보험(99.1%), 손해보험(92.9%) 등 보험 상품은 오프라인을 통한 가입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디지털 보험사들이 단기 소액 보험(미니보험)과 손해율이 큰 자동차보험 위주의 상품으로 비교적

단순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것도 실적 개선의 걸림돌로 꼽힌다.

자동차보험을 제외하면 주력 상품이 대부분 보험료가 1만원이하인데다,

가입 기간이 일회성이거나 길어봐야 1~2년으로 단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디지털보험사 관계자는 “지금까지 소비자들의 보험 습관이나 경험이 대면으로만 진행돼 왔기 때문에

20년납 장기 보험을 모바일 앱이나 홈페이지 안내만을 통해서 가입하기는 쉽지 않은 구조”라며

“실제 장기 보험을 팔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갖춰야할 조직도 많은데,

디지털보험사들이 장기 상품을 취급하기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