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동복 기저귀 값

유아동복 기저귀 값 올라 엄마 아빠 허리 휘겠네

유아동복 기저귀 값 올라 엄마 아빠 허리 휘겠네

이 돈 주고 누가 소주 먹나 하이볼 먹지 소맥값 눈치작전 식당가

올해 들어 분유·기저귀·유아동복 등 대다수 육아용품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가구의 양육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영유아 가구가 주로 소비하는 11개 상품·서비스 중 절반이 넘는 6개 품목의 올해 1∼10월 물가 상승률이 전체 평균(3.7%)을 웃돌았다.

11개 품목은 분유, 이유식, 유아동복, 유아용 학습교재, 아동화, 종이 기저귀, 장난감, 유모차, 유치원 납입금, 보육시설 이용료, 산후조리원 이용료 등이다.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대상인 유치원납입금과 보육시설 이용료를 제외하면 물가 조사 대상 육아용품의 3분의 2가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돈 수준이다.

특히 1∼10월 유아동복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1% 상승하면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85년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이 기간 기저귓값 상승률도 9.6%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0.6%를 기록한 뒤로 가장 높은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3.0% 오른 기저귓값은 올해 들어 전년 동월 대비 매달 8∼10% 내외의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분유는 원유 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올랐다. 1∼10월 기준으로 2012년(8.1%) 이후 11년 만에 최대 폭이다.

아동화 값도 지난달까지 6.3% 올랐다. 2008년(6.6%) 이후 15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다.

같은 기간 유아용 학습교재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큰 폭인 7.5% 올랐다. 장난감도 1.6% 올라 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이다.

1∼10월 산후조리원 이용료도 5.2% 오르면서 2011년(6.9%) 이후 12년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육아용품·서비스는 영유아 가정에는 필수재에 가깝기 때문에 가격 상승은 고스란히 양육비 부담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저출산 대책 차원에서 정부 차원의 관심이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는 11개 육아용품의 가중치를 육아가구 중심으로 재산정한 육아물가지수를

개발해 2013년부터 발표해왔지만 관련 예산이 줄면서 2020년을 끝으로 중단된 상태다.

고금리가 지속돼 다중채무자와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집을 산 사람들) 등의 상황 악화로 인한 개인회생과 파산이

잇따르면서 지난해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 청년들이 4778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년 전인 2018년 대비 7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12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검토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 청년은 4778명으로 2018년 670명

대비 7배 이상 가파르게 늘었다. 또 지난해 한국장학재단이 학자금 대출을 돌려받지 못해 ‘회수 불능’으로 처리한

금액은 총 274억8900만원으로 2018년 47억3000만원에서 5배 넘게 불어났다.

2021년 회수 불능 학자금 대출이 118억6200만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년새 규모가 2배 넘게 급증한 것이다.

청년들이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 주요 이유는 개인 회생과 파산이었다.

지난해 개인 회생을 신청해 상환 면책을 받은 인원은 총 3454명으로, 그 대출액 규모는 178억4000만원에 달했다. 회수 불능 인원의 72.3%, 금액의 64.8%에 달하는 규모다.

이밖에 파산 면책으로 인한 회수 불능 인원과 금액은 각각 954명, 71억9200만원으로 조사됐다.

학자금 대출 상품별로 보면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의 회수 불능 규모가 162억 5400만원으로,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의

회수 불능 규모(112억 3500만원)보다 컸다. 한국장학재단 관계자는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한 인원들은

대부분 다른 채무도 보유하고 있다”며 “학자금 대출 자체가 커서라기보다는 고금리로

(다른 빚을 갚지 못해) 개인 회생·파산이 늘어나면서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학자금 대출 금리는 2021년부터 시중 금리보다 낮은 1.7%로 묶여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그러나 시중 금리가 상승하면서 다른 대출로 진 이자 부담이 높아진 청년들이 학자금 대출까지 갚지 못하게 됐다는 뜻이다.

대부분 차주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뒤에 학자금 대출을 상환하는데, 사회 초년생이어서 소득이 높지 않은 데다,

집값 상승 기대감에 따른 ‘영끌 투자’ 열풍까지 겹치면서 청년들의 빚 부담이 커졌을 가능성도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