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전쟁 이기려면

반도체 전쟁 이기려면 이것 은 필수 한국 10기 더 지어야

반도체 전쟁 이기려면 이것 은 필수 한국 10기 더 지어야

尹 은행들 손쉽게 돈 벌어 금리경쟁 붙여 서민 이자부담 줄인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짓고 있는 원전만 26기에 신규 건설이 확정된 원전만 42기에 달한다.

잠재적으로 더 지을 가능성이 높은 원전수는 154기에 달한다.

중국은 현재 전력 생산의 5% 정도를 차지하는 원전 비중을 2030년 10% 이상 늘릴 계획이다.

연초부터 영국, 프랑스도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신규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는 건 넷제로(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고 첨단 산업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전기차 보급 확대도 전력 수요 증가로 이어져 더 많은 전기 생산을 필요로 하고 있다.

각국이 자원무기화에 나선 가운데 안정적인 전력생산을 위한 ‘안전판’이기도 하다.

한국의 경우 반도체와 데이터 센터가 천문학적 전기를 필요로 한다.

첨단 공정을 하는 반도체 공장 1개당 대략 1.4GW 규모의 원전 1기가 필요하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경우 현재 계획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필요한 전력 규모가 10GW에 달한다. 원전 7~8기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중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3GW는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문제는 나머지 7GW의 전기다.

호남 지역에 풍부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와 동해안 원전에서 조달할 계획이지만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성

문제 때문에 안정적 전력 공급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있는 원전 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

산업부 관계자는 “첨단반도체 생산에는 최고 품질의 안정적 전력공급이 필수적”이라며

“대규모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원전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며, 간헐성과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만으로 공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데이터센터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로 전환하면서 전력 수요가 2023년 대비 2028년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54만대를 돌파한 국내 전기차 보급은 2030년 45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 많은 전기 생산을 필요로 하는 요인들이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맞춰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첨단 산업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다.

지난 15일 반도체 민생토론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탈원전을 하게 되면 반도체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이라는 건 포기해야 한다”며 원전 확대를 시사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첨단산업에 대한 전력공급 방안을 충분히 고려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가 조만간 발표할 11차 전기본은 윤석열 정부에서 만든 두 번째 장기 전력 계획이지만 사실상 국정 철학을 반영한 첫 번째 계획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10차 전기본은 윤석열정부의 국정철학을 100% 반영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11차 전기본이야 말로 이 정부의 에너지정책 철학을 고스란히 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최소 2~4기의 신규 원전 건설이 11차 전기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경우 문재인정부 시절 백지화한 천지 1~2호(영덕)와 대진 1~2호(삼척) 건설 계획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정해진 건 아무것도 없다”면서도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11차 전기본에 포함되는건 기정 사실”이라고 전했다.

전력 수요 폭증과 원전 신규 건설 등을 감안할 때 원전 발전량 비중 목표도 상향이 예상된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0년 12월에 나온 10차 전기본에서는 2030년 원전 발전 비중 목표를 25%로 제시했지만

지난해 1월 윤석열 정부는 신규원전 건설 없이 32.4%를 목표로 내세웠다.

이와 관련해 한국전력에 따르면 2021년 27.4% 였던 국내 원전 발전량 비중이 2022년에는 29.6%까지 올라갔다.

지난해에는 30%를 무난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1차 전기본에서 신규 원전 건설을 포함할 경우 2030년 원전 발전 비중 목표는 35% 안팎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태양광이나 풍력의 간헐성 문제는 연구개발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기 때문에

결국 많은 나라들이 다시 원전을 짓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는 2030년대 중반까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최소 10기의 원전은 추가로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무탄소 에너지의 대표적인 예가 원전과 수소”라며 “원전 하나 짓는데 최소 3년 이상

걸린다는 점과 국내 산업 규모나 현황 등을 고려하면 11차 전기본에는 2~3개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포함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