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미쳤는데

물가 미쳤는데 월급은 왜 이 모양 중산층 살림살이 빠듯

물가 미쳤는데 월급은 왜 이 모양 중산층 살림살이 빠듯

한은 기준금리 연 3.50로 또 동결 11회 연속

올해 1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근로소득은 급감했는데 물가는 오르면서다.

실제로 대기업 상여금 감소가 실질 근로소득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근로소득 외에 이렇다할 소득이 없는 대부분의 중산층이 고물가와 고금리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살림살이가 어려워지면서 가구 흑자 규모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다.

하지만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1.6% 줄면서 1분기 기준으로 2021년(-1%) 이후 3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이번 감소 폭은 2017년 1분기(-2.5%) 이후 가장 크다.

가계소득 감소를 이끈 것은 근로소득이었다.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명목 근로소득이 1.1% 감소했다.

지난해 대기업 실적이 부진해 상여금 규모가 급감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대기업에 다니며 근로소득으로 생활하는 중산층의 소득 감소가 전체 가계소득 감소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 근로소득 감소율은 더 크다. 1년 전에 비해 3.9% 줄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은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에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됐다”고 설명했다.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 늘었다. 물가가 오르면서 같은 씀씀이에도 지출규모가 커졌다.

소득에서 이자 비용을 포함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404만6000원)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보다 지출증가율이 커졌다는 얘기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구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며 3개 분기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의미하는 흑자율은 28.1%로, 2022년 3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흑자율은 소득 1분위(하위 20%)를 제외한 모든 소득 분위에서 떨어졌는데, 중산층의 살림살이 악화를 간접적으로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가계소득 증가폭은 전 분기(3.9%)보다 크게 둔화한 것이다.

근로소득(329만1000원)이 1.1% 줄어든 영향이다. 근로소득은 급여와 상여로 나눠지는데

지난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다수의 기업에서 실적 하락세를 보이며 상여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낮게 이뤄져 감소했다.

반면 사업소득(87만5000원)이 임대소득 증가,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 영향으로 8.9% 늘었다.

물가 영향을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1분기 기준으로는 2017년 2.5% 감소한 이후 7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으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감소로 전환됐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이 3.9% 줄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이는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은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에,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됐다. 1분위 가구 소득은 늘고 5분위 가구는 줄면서 소득 불평등 지표는 개선됐다.

1분위 가구 소득은 근로·이전소득 중심으로 1년 전보다 7.6% 늘었고 5분위 가구는 근로소득이 줄며 2.0% 감소했다.

5분위 소득 감소에는 삼성전자·LG 등 대기업의 상여금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 7000원, 1125만 8000원이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