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vs정부 갈등 심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물 문제 재점화

주민vs정부 갈등 심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물 문제 재점화

주민vs정부 갈등 심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물 문제 재점화

한국行이 뜨겁다 외국인 300만 명 유혹하는 특화 금융 서비스

정부가 경기도 용인에 조성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 용수를 책임질 수 있는 핵심 인프라인 경기도 양구의

수입천댐 건설이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프로젝트가 보류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되면 기존 대책만으로는 급증하는 물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지난 16일 환경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위한 통합용수공급 사업의 1단계 기본 및 실시 설계를 착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사업은 클러스터 운영에 필수적인 공업용수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필수적인 기반시설 구축이 목표입니다.

정부는 이 사업에 2034년까지 약 2조 2천억 원을 투입해 하루 약 107만 톤의 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1단계(2031년까지 하루 31만 톤)와 2단계(2035년까지 하루 76만 톤)로 나누어 추진 중입니다.

이번 설계 착수는 이 중 1단계 사업에 해당합니다.

1단계 사업을 통해 정부는 팔당댐에서 용인까지 총 46.9km에 달하는 전용 관로를 건설하고

고지대 수압을 높여 물 공급을 원활히 할 가압장도 함께 신설할 계획입니다.

설계는 2024년 11월까지 진행되며, 이후 공사가 시작돼 2030년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계획대로 모든 작업이 마무리되면 2031년 1월부터 일일 공급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계획에도 불구하고, 수입천댐 건설이 지연되면서 장기적인 물 부족 문제에 대한 우려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경기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하루 용수 수요는 2035년 이후 약 167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비교해 현재 통합용수공급 사업의 2단계까지 완료되더라도 공급 가능한 용량은 하루 107만 톤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물 부족을 해결할 열쇠로 떠오른 수입천댐은 환경부가 발표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중 가장 큰 규모로 꼽혔습니다.

총 저장량이 1억 톤에 이르는 이 댐은 건설이 완료되면 하루 최대 100만 톤 이상의 용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됩니다.

하지만 주민 반대와 환경 문제 제기로 인해 현재 추진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정부와 지역 사회가 서로 합리적인 대안을 찾지 못한다면, 반도체 산업의 핵심 거점인 용인 클러스터의 지속 가능성 역시 심각한 도전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향방은 향후 주민과 정부 간 합의와 실행 계획에 달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