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0억 원 더 저렴하게 인수한 우리금융 시니어 사업의 미래를 밝히다

9천억 원 더 저렴하게 인수한 우리금융 시니어 사업의 미래

9천억 원 더 저렴하게 인수한 우리금융 시니어 사업의 미래

감액이전의 실체 보험 가입자들이 알아야 할 사실

우리금융이 보험사 인수를 통해 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되면서 4대 금융지주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금융은 보험 자회사를 활용해 요양·퇴직연금 등 초고령화 시대에 맞춘 사업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를 승인한 배경에는 내부 통제 개선안의 실효성과 자본비율에서 결격 사유가 없다는 점이 작용했다.

금융당국은 지주사의 자회사 편입 시 자본 건전성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는데, 우리금융의 지난해 말 기준 보통주자본 비율은 12.13%로 권고 수준인 11.5%를 초과한다.

금융지주는 보통주자본이 많을수록 예상치 못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데, 우리금융의 비율이 타 금융지주 대비 다소 낮지만 기준치는 넘었다고 평가된다.

또한 우리금융이 두 보험사를 비교적 낮은 가격에 매수한 것도 자본비율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금융은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양사 주식매매계약을 1조5500억 원에 체결했으며, 이는 금융권 추산에 비해 9000억 원가량 낮다.

가격보다 빠른 매각을 필요로 했던 다자보험의 상황을 활용해 우리금융은 낮은 가격에 매수를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금융지주 CFO 이성욱은 지난 1분기 콘퍼런스콜에서 “합병이 마무리되더라도 적정 가격에 인수했기 때문에

자본 건전성은 크게 훼손되지 않을 것”이라며 “염가매수차익의 인정 범위가 넓어질 경우 자본비율은 현 수준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보험업계는 두 보험사가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한다.

동양생명은 지난해 역사상 최대치인 314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고, 저축성 보험 대신 보장성 보험 중심의 판매 전략을 펼치며 수익성을 개선했다.

보험계약마진은 지난해 말 기준 2조6710억 원이며, 신지급여력비율은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를 넘는 155%이다.

ABL생명도 지난해 1051억 원의 순이익을 올려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지급여력비율은 1년 새 30%포인트 이상 감소했지만 여전히 153%로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저축성 보험 비중이 높은 것이 수익성 저하의 단점으로 꼽힌다.

우리금융이 이 회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에 성공하면 인수 후 빠르게 수익 증대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지금,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는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최근 금융지주는 보험사를 전면에 내세워 요양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이며, KB라이프생명 및 신한라이프가 노인복지시설을 개설했고 하나생명도 요양 전문 자회사 설립에 착수했다.

우리금융도 새로 인수할 보험사를 통해 요양 사업을 확장하고 퇴직연금 시장에서 더욱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보험 자산을 통해 글로벌 투자를 확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험 자산을 활용하면 더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한라이프는 글로벌 운용사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보험 자산과 해외 대체투자를 연계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 인수로 인해 내부 통제 요구가 증가할 것이란 점은 우리금융에게 해결해야 할 과제다.

증권사와 보험사는 금융 사고가 잦은 분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려는 전제조건으로 인수가 승인된 만큼 그룹 전체의 윤리 의식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