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년

32년 지지부진했던 이 땅 한국판 센토사섬 으로 거듭날까

32년 지지부진했던 이 땅 한국판 센토사섬 으로 거듭날까

격도 성능도 꼭대기 잠수되는 갤탭S9

1991년 첫 삽을 뜬 이후 32년 간 정치에 휘둘리며 공전하던 새만금 개발 사업.

이번에 파행을 겪은 세계 잼버리 대회를 계기로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국내 기업들과 문화 공연, 한국 체험을 전면에 내세워 잼버리 대회를 다시 살려낸 것 처럼 새만금 사업도

앞으로 ‘K기업과 K컬쳐의 메카’로 빠르게 탈바꿈해야 지지부진했던 개발 계획이 성공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만금 일대는 현재 2차전지(배터리) 기업들이 잇달아 투자에 나선 상황이고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사업도 추진 중이다.

전북연구원은 새만금 일대 특화단지 지정으로 추후 기업 유치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생산액 8조5000억원,

부가가치 2조7000억원, 고용유발 효과 3만2000명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새만금 산단 인근에 철도역과 새만금 국제공항이 들어서면 생산과 고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허문구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 소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가 심화되는 것은 주요 산업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있기 때문”이라며

“특화단지 지정 등을 통해 비수도권에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면게 되 젊은 세대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비수도권이 새로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셈”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새만금 산단은 1·2·5·6공구도 이미 90% 정도 분양이 완료됐고 2차전지 관련 기업만 SK온·LG화학 등 16개사가 입주를 결정했다.

다만 대기 중인 공장 증설 계획과 신규 입주 기업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용지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새만금개발청은 2026년 매립지 조성 완료를 계획한 7·8공구의 조성 시기를 2025년으로 앞당겼다.

또 새만금에선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최근 전북연구원은 테마파크 유치에 대한 지역 여건과 준비 사항을 살펴보기 위해 새만금 대규모 테마파크 유치 구상 연구에 들어갔다.

이를 토대로 투자 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과 지자체를 비롯한 국내·외 사례 등을 검토한다는 구상이다.

김관영 전북지사는 당선인 시절부터 새만금에 디즈니랜드 같은 테마파크 유치를 통해 산업과 관광을 활성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벤치마킹 대상으로는 싱가포르 센토사섬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를 꼽았다.

최근 새만금에서 열린 세계잼버리 행사가 폭염 등으로 문제가 됐다가 K팝 공연 등 ‘K컬쳐’로 수습한 점을 계기로 테마파크 조성 사업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김형주 군산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이번 세계잼버리 행사가 열린 용지를 개발할 당시 문화·관광산업을 염두에 뒀으면 폭염이나 악취와 같은 사태는 없었을 것”이라며

“해당 지역을 (문화·관광용지로) 활용할 경우 잼버리 행사가 끝나더라도 미래 가치를 이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새만금 개발 사업은 노태우 전 대통령 공약에서 시작됐지만 정작 노태우 정부 초기에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진도를 나가지 못했다.

이후 김대중 당시 신민주연합당 총재 건의로 1991년 착공에 들어갔다. ‘호남 정권’이던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는 환경 문제에 부딪혀 속도를 내지 못했다.

1996년 간척 사업으로 조성된 경기 시화호가 ‘죽음의 호수’로 변하자 환경단체가 ‘새만금 사업 재검토’를 요구한 것이다.

수년간의 법정공방에 사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새만금 개발 사업은 뒷전이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종합개발계획이 수립되며 새만금 사업에 속도가 붙는 것 같았지만, 4대강 사업이 진행되자 후순위로 밀려났다.

이후에도 사업은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갔고 군산 지역경제도 차츰 쇠퇴해갔다.

2017년 현대중공업 조선소는 가동이 중단됐고 2018년에는 제너럴모터스(GM)가 철수했다.

새만금 개발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게 된 배경을 두고 전문가들은 선거 때마다 사업 목적이 바뀌었고

국책사업으로서 중요도가 떨어지면서 정부 의지가 약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홍준현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는 “새만금 사업의 초기 목적은 농지 확보에 있었는데,

시대가 변하면서 (목적이) 달라졌다”며 “이 과정에서 국책사업이 지역 사업으로 전락하게 됐다”고 진단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