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마다 반복됐다 환율 1400원의 이면 노영우의 스톡피시
위기마다 반복됐다 환율 1400원의 이면 노영우의 스톡피시
수영장에 떠 있을 때는 누가 큰지 작은지 알기 어렵다.
그러다 수영장 물이 빠지면 사람들의 키는 고스란히 드러난다. 경제도 비슷하다.
우리 경제에는 12월 들어 대통령의 계엄령을 시작으로 정치적 격변이 몰아닥쳤다.
국가의 경제적 위험을 가장 신속하게 반응하는 것이 환율이다.
원화값은 급속히 떨어졌고 환율은 심리적 저지선인 1400원을 훌쩍 넘었다.
하지만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향후 정치 일정이 헌정 질서 내로 들어오면서 정치적 불안정성은 조금씩 줄고 있다.
마치 수영장 물이 빠지듯. 그런데도 환율은 다시 내려가기는커녕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이럴 땐 외환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 경제의 펀더맨털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우리 경제에서 달러당 원화값 1400원은 일종의 심리적 마지노선이다.
환율이 1400원을 넘어 장기간 지속된 것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등 두 차례밖에 없었다.
한국은행 자료를 통해 기록을 살펴보면 1997년 12월9일 환율이 1460원을 기록한 이후부터 1998년3월20일까지 약 100일간 환율은 1400원 위에서 움직였다.
이후 1300원대로 내려왔다. 2008년 금융위기 때는 같은 해 11월17일부터 12월9일까지 23일간 1400원을 넘었다.
환율이 1400원을 넘으면 분명 우리경제에는 위기 신호다.
정부는 그동안 외환관리를 통해 환율이 1400원을 넘지 않도록 면밀히 관리해왔다.
시장에 심리적인 안정을 주기 위해서다. 환율이 1400원 위로 올랐다는 것은 정부의 관리 범위를 넘어선 것이다.
그러다 환율 1400원선이 장기간 지속되면 경제위기로 이어졌다.
우리나라 환율은 2024년 12월2일 1401원을 기록하며 1400원을 넘어선 이후 15일간 1400원 위에서 움직이고 있다.
계엄령 선포로 국가 위험도가 크게 올라갈 것이라는 불안감이 시장을 휩쓸었던 점이 가장 큰 이유다.
하지만 정치 리스크는 시간이 갈수록 줄었지만 환율은 시간이 갈수록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17일에는 달러당 원화 환율이 1436원까지 올랐다. 정치 리스크 때문만으로 보기에는 과도한 상승이다.
환율 상승을 이끄는 경제적 요인도 만만치 않다. 먼저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글로벌 자금은 수익률을 따라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높은 나라로 움직인다.
12월16일 현재 미국과 한국 국채 10년 물로 비교한 한미 간 금리차이는 1.65%포인트에 달한다.
미국 국채 금리는 연4.39%, 한국 국채 금리는 연2.74%다.
한미 간 장기 금리 차는 9월에는 0.6%포인트 정도였다. 이후 조금씩 올라 석 달 만에 3배가량 늘었다.
미국금리는 오른 반면 한국 금리는 오히려 떨어지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금리 차이가 커질수록 원화가치는 떨어지고 환율은 오른다.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차이도 여전하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한선은 4.75%, 한국의 기준금리는 3%로 금리차가 1.75%포인트에 달한다.
장기와 단기 금리 모두 차이가 1.5%포인트를 넘는데 원화가 강세를 보이기는 어렵다.
환율은 실물경제요인도 반영한다. 경제성장이 높은 나라는 통화가치도 높다.
하반기 들어 한국과 미국의 성장률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원화값 하락을 이끄는 요인이다.
올해 1분기 성장률(전기 대비)은 한국이 1.3%, 미국이 0.4%로 한국이 훨씬 높았다.
하지만 2분기에는 우리 성장률이 -0.2%로 곤두박질 친 반면 미국 성장률은 0.7%를 기록해 차이가 벌어졌다.
3분기에도 한국(0.1%), 미국(0.7%)로 여전히 큰 폭의 차이를 기록했다. 성장률 차이가 커지는 것도 통화가치 하락의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