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에 다시 허용되는 공매도 국내 증시 회복 이끌까?

외국인에 다시 허용되는 공매도 국내 증시 회복 이끌까?

외국인에 다시 허용되는 공매도 국내 증시 회복 이끌까?

100만원짜리 PT 회원권 이제 절반은 소득공제

코로나19 대유행 직후인 2020년 3월, 세계 주식시장은 폭락세로 돌아서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어요.

금융시장이 불안에 빠지자, 각국 정부는 나름의 대책을 내놨고 우리 금융당국도 여러 방안을 동원했죠.

이 중 하나가 ‘공매도 전면 금지’였어요.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한시적으로 이 제도의 활용을 멈추기로 했어요.

그런데 다음 달 말부터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될 것으로 보여요.

팬데믹 여파로 금지한 지 5년 만이에요.

이제는 다시 허용해야 할 이유가 생긴 거예요.

공매도 재개가 어떤 의미인지 정리해 봤어요.

공매도가 뭐였더라?

일단 공매도는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예요.

일반적인 거래는 물건을 먼저 산 뒤에 가지고 있다가 파는 게 순서예요.

하지만 공매도는 물건을 사지 않고 우선 빌려서 판 다음, 나중에야 다시 사서 빌렸던 걸 갚아요.

주식시장에서 이런 방식은 주가 하락을 이용해 돈을 버는 투자 기법으로 활용돼요.

주식도 물건처럼 빌리거나 빌려줄 수 있거든요.

주가가 하락할 땐 일반적인 주식 투자로는 돈을 벌 수 없지만, 공매도를 활용하면 수익을 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전자의 주식 가격이 지금 1만원인데, 곧 하락할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잖아요.

그러면 이 투자자는 1만원짜리 ○○전자 주식을 사는 대신, 빌려서 1만원에 팔아요.

물론 주식을 빌려준 사람에게 수수료를 조금 지급하기로 하고요.

그리고 얼마 후 ○○전자 주가가 8000원으로 하락하면, 이때 다시 사들여서 갚을 수 있어요.

만약 1000주를 1만원에 빌려서 팔고 → 8000원에 1000주를 다시 사서 갚았다면 → 수익은 200만원이 돼요.

주식을 빌리기 위한 수수료는 수익에서 조금 빼야겠죠.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조금 더 복잡한 방법들이 있긴 하지만, 이게 공매도의 기본적인 방식이에요.

일단 빌려서 비싸게 팔고, 나중에 값이 내려가면 싸게 사서 갚는 거예요.

하지만 공매도를 했는데 주가가 오를 경우엔 결국 더 비싼 값을 치르고 주식을 사서 갚아야 하니까 손해를 볼 수도 있어요.

공매도는 주가가 내려갈 때 돈을 버는 투자 기법이다 보니, 코로나19 유행 직후처럼 주가가 폭락하는 시기엔 하락 폭을 더 키울 수 있어요.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사람이 많아진 만큼 주식을 빌려 팔아 치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니까요.

그래서 우리 금융당국은 주가가 더욱 폭락하는 일을 막기 위해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했던 거예요.

이후 팬데믹 시기를 거치며 주식시장은 금세 회복세로 돌아섰고 오히려 전보다 더 많이 올랐어요.

금융당국은 2021년 5월엔 국내 주요 주가지수에 포함된 일부 종목들에 대해선 공매도를 재개했어요.

그러다가 2023년 11월엔 다시 공매도가 금지됐는데,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한국에서 불법 ‘무차입 공매도’를 한 사실이 적발됐기 때문이에요.

공매도 자체는 문제가 없는 합법적 투자 기법이지만, 무차입 공매도는 심각한 불법 행위거든요.

쉽게 말해 주식을 ‘빌린 척’만 하고 팔아 치운 거예요.

금융회사라는 위치를 이용해 장부를 조작한 셈이죠.

이후 하락한 가격에 주식을 사서 갚았으니 잘 티가 나지 않았고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