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 쏘더니 결국 막았다 미국 증시 급락에도 원화값 반등 왜?
실탄 쏘더니 결국 막았다 미국 증시 급락에도 원화값 반등 왜?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이 2% 넘게 급락했지만 원화값은 달러 대비 되레 반등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잇달아 구두개입에 나선데다
외환당국이 원·달러 역외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 매도 개입을 통해 원화 약세 심리를 되돌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서는 역외 투자자들의 최근 원화 매도·달러 매수가 투기적 달러 매수가 아닌 손절매 성격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직전 원화 급락 시기였던 2022년과 지금을 비교했을 때 유가, 물가, 수출 등 원화를 둘러싼 ‘기초체력(펀더멘털)’이 현저히 좋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21일 글로벌 외환중개사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간) 뉴욕 금융시장 마감무렵 NDF 시장에서 원화값은 달러당 1375원(현물환 환산 기준)에 거래됐다.
이는 19일 서울외환시장 종가 달러당 1382.2원 대비 7원 정도 오른 수준이다.
이스라엘의 이란 재보복 소식이 알려지기 전인 지난 18일 달러당 1372.9원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통상 뉴욕 NDF 종가는 서울 외환시장 다음 거래일 개장가와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된다.
외환시장에서는 정부가 NDF 시장에서 달러 매도 개입을 통해 원화 약세를 방어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가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들의 급락으로 하락한만큼 반도체가 주력인 한국 주식시장 역시 22일 하락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증시 불안 = 원화 약세’라는 공식을 감안하면 이날 NDF 종가는 1390원대에 진입했다하더라도 이상하지 않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외환당국은 최근 원화값 약세가 금융시장 불안으로 전이돼지 않도록 총력전을 다하고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미일 재무장관과 공동으로 구두개입에 나선데 이어 19일(현지시간)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워싱턴에서
기자들과 만나 “많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우리처럼 석유 소비가 많은 나라는 중동 향방에 따라 상황이 불확실하다”며 “확전이 안 된다면 환율도 다시 안정쪽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 미국이 원화 절하 속도가 과도하다고 언급한 덕분에 우리 외환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숨통도 한결 트였다.
외환시장에 과도한 개입에 나설 경우 미국 재무부는 개입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해 무역 정책에서 각종 불이익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 재무부가 한국 외환당국의 개입을 사실상 용인한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외환당국 수장들의 구두개입과 ‘일시적 원화 약세’라는 설명이 ‘펀더멘털’ 측면에서 타당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022년 원화값이 연초 달러당 1191.8원에서 같은해 9월 달러당 1439.9원까지 수직 낙하했던 때보다는 주변 여건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한 외환시장 관계자는 “원화값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인 국제 유가, 국내 물가, 수출 등 3가지가 2022년 대비 훨씬 좋아졌다는 것이 숫자로 증명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국제유가는 배럴당 100달러선을 훌쩍 웃돌았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같은해 3월 배럴당 123.64달러까지 치솟았다.
그랬던 WTI 가격은 올해 이스라엘발 불안이 심화됐음에도 배럴당 87달러선에 머물고 있는 중이다.
국내 물가 역시 마찬가지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22년 7월 6.3%에 달하며 고공행진했지만 올해 3월에는 3.1%로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