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는 과학 이란 말은 옛말, 요즘은 이 기술이 불면증 돕는다
침대는 과학 이란 말은 옛말, 요즘은 이 기술이 불면증 돕는다
내년도 최저임금 이르면 오늘밤 결정 사상 첫 1만원 넘기나
“내 숨소리를 들어요. 내 숨에 당신 숨을 맞춰요. 이제 바다로 가요. 물로 들어가요. 당신은 해파리예요.
눈도 코도 없어요. 생각도 없어요. 기쁘지도 슬프지도 않아요. 아무 감정도 없어요. 물을 밀어내면서 오늘 있었던 일을 밀어내요. 나한테···”
영화 ‘헤어질결심’에서 송서래(탕웨이)가 불면증에 시달리는 장해준(박해일)에게 알려준 수면법입니다.
자신을 해파리로 생각하며 몸을 이완시켜 수면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불면증을 한번쯤 경험해보신 분들은 알겁니다. 잠을 못자는 고통이 일상을 얼마나 위협할 수 있는지 말입니다.
잠을 자야한다는 강박관념에 휩싸여 잠들기 위해 발버둥쳐 보지만, 정작 잠은 오지 않고 동틀 시간이 다가올수록 불안함만 더 커지죠.
50~70대가 주로 불면증에 걸리지만 20~30대 직장인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최근 불안함을 잠재워 잠을 잘 자게 돕는 ‘슬립테크(Sleeptech)’ 산업이 쑥쑥 자라고 있습니다.
1993년 국내 한 침대 회사가 내세웠던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란 광고 카피문구, 기억하시나요?
당시 단순 내구재에 불과했던 침대와 매트리스가
과학과 기술 개발의 영역에 들어섰음을 많은 사람들에게 각인시켰는데요.
‘침대가 과학’이라는 표어는 이제 슬립테크로 더 발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쾌적한 수면 환경을 만들어 숙면을 돕는 기술을 말하는 겁니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2021년 기준 7시간 51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8시간 22분보다 31분이 부족합니다.
영국 BBC에서 수면에 대한 153개의 논문을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수면 부족은 당뇨, 면역력, 비만, 치매에 영향을 끼칩니다. 노화가 더 빨리 진행되기도 하고요.
불면증을 포함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사람들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진료받은 사람은 2017년 약 84만 명에서 2021년 약 110만명으로 4년 새 약 30%가 늘어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 국민의 20%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사람들이 더 나은 휴식과 함께 오래 잠들 수 있도록 돕는 국내 수면 산업 규모는
지난 2011년 4800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기준 3조원까지 5배 이상 성장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면 산업이 ‘폭풍 성장’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약 110억달러(약 14조4000억원)였던 수면 산업의 규모는
2026년 321억달러(약 42조1000억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요. 2033까지 매해 연평균 22% 이상 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