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반도체 이끌 스타 팹리스 20곳 선정
시스템 반도체 이끌 스타 팹리스 20곳 선정
정부가 세계적 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팹리스(fabless) 육성을 목표로 국내 20개사를 ‘스타 팹리스’로 지정해 종합적 지원을 하기로 했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글로벌 스타팹리스 출범식’을 열고 총 20개사를 집중 지원 대상인 ‘스타 팹리스’로 선정했다.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글로벌 스타 팹리스’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설계사인 어보브반도체, 근거리 무선통신(NFC) 반도체 설계사인 쓰리에이로직스,
통신용 반도체 업체인 포인투 테크놀러지 등 10개사가 선정됐다.
우수 기술을 보유한 7년 미만 팹리스인 ‘라이징 스타 팹리스’에는 AI 반도체 설계사인
모빌린트와 수퍼게이트,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설계사인 사피엔 반도체 등 10개사가 뽑혔다.
산업부는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핵심 기술 보유 여부 및 파급력, 성장 전략,
경영 철학, 전문 인력 보유 수준 등을 기준으로 20개사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동시에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등
시제품 제작 ▲금융 ▲국내외 마케팅 ▲설계 인력 육성 등 다양한 반도체 지원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우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는 메모리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제조 분야의 세계적 강국 지위를 확보하고 있지만 설계 분야에서는 존재감이 약하다.
반도체 설계 분야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양대 축이지만 수준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가 요구돼 진입 장벽이 높다.
작년 기준으로 엔비디아, 퀄컴 등 세계 상위 30위권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점유율은 모두 합쳐 1% 수준에 그친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인공지능화, 전기화 등 미래 산업의 도래와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시장 급성장에 따라 팹리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유망 팹리스에 다양한 정부 지원책을 제공해 글로벌 상위권 팹리스를 배출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이 29일 내놓은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1~6월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962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895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는데, 적자 전환했다.
저축은행 업권 전체가 상반기 기준으로 적자를 기록한 건 관련 통계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14년 6월 말 기준으로는
5080억원 적자를 기록했는데 당시 수치는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의 누적 당기순이익 규모다.
고금리 여파가 이어지며 저축은행의 손실이 늘고 있다. 저축은행은 주로 신용 등급이 낮은
고객에게 돈을 빌려주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 손실이 커지고 연체율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비해 금융당국의 권고로 저축은행들은 대손충당금(향후 대출 손실에 대비해 미리 손실로 반영하는 금액)을 많이
쌓았는데 이는 실적 악화로 직결됐다. 올 상반기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9312억원으로 1년전 같은 기간(1조3020억원)보다 48.3%(6292억원) 늘었다.
금감원은 “예대금리차 축소 등으로 이자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대손 비용이 많이 증가했다”며 적자 전환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해 상반기 저축은행 업권의 예대 금리차는 6.19%였는데, 올 상반기는 4.72%로 축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