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버린 대한민국

늙어버린 대한민국 10가구 중 1가구 독거노인

늙어버린 대한민국 10가구 중 1가구 독거노인

다음주 최대 위기 온다 역대급 찜통더위에 전력당국 초긴장

대한민국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지난해 고령자가 혼자 사는 가구는 10가구 중 1가구에 달했다.

1인 가구 비율도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증가율이 소폭 둔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3일 통계청의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94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45만1000명(5.0%) 늘어는 수치다.

고령인구 중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2%로 가장 많았다. 75∼84세는 31.3%로 집계됐고 85세 이상 초고령자 비율도 10.5%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85세 이상 인구가 7.3%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65∼74세는 5.2%, 75∼84세는 3.8% 늘었다 .

내국인 고령인구 중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인구는 72.2%(685만6000명)이고

혼자 사는 인구는 22.5%(213만8000명), 집단가구에 거주하는 이들은 3.4%(31만9000명)로 집계됐다.

가구로는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681만3000가구로 전체 일반 가구의 30.9%를 차지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374만4000가구·17.0%) 가운데 고령자 1인 가구(213만8000가구)를 추리면 전체 일반 가구 중 비율은 9.7%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가구는 전년보다 8.3% 늘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7.2% 증가했다.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로 1년 전보다 32만7000가구(4.4%) 증가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5.5%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증가했는데, 이는 역대 가장 큰 비율이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는 등 여러 요인으로 1인 가구는 계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증가율은 어떻게 될까?

다만 증가율은 2020년 8.1%에서 2021년 7.9%, 2022년 4.7%, 지난해 4.4% 등으로 둔화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은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다. 60대와 30대가 17.3%씩으로 나타나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30대가 2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이하(18.7%), 50대(17.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여자는 60대(18.6%)에서 비중이 가장 컸다. 20대 이하(18.4%)가 비슷한 비중이었고 70대(15.2%)가 뒤를 이었다.

한편,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 주택은 1954만6000가구로 전년보다 39만1000가구(2.0%) 증가했다.

연평균 주택 증가율은 1995년 5.4%에서 지속해 감소, 2016년 2.0%까지 낮아진 후 반등하다가 2019년 이후 증가 폭이 둔화했다.

2021년 1.5%까지 낮아졌다가 2022년(1.8%)부터 2년 연속 확대됐다.

주택당 평균 거주인 수는 2.7명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5년 전보다는 0.3명 줄었다.

미거주 주택(빈집)은 153만5000가구로 전체 주택의 7.9%를 차지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사람이 살지 않는 주택을 말한다. 신축주택과 매매·임대·이사·미분양 등의 사유로 인한 일시적 빈집도 포함한다.

빈집이 전년보다 8만3000가구(5.7%) 증가하면서 전체 주택 중 빈집도 전년보다 0.3% 포인트 증가했다.

시도별 건축된 지 30년 이상 된 빈집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8.6%(7만1000가구), 경북 6.6%(7만3000가구), 전북 6.3%(4만8000가구) 순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신축 아파트가 증가하면서 미입주·미분양이 현재 빈집으로 집계됐고

멸실돼야 할 집이 아직 착공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빈집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